특 허

국립생물자원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작은노란 대구멍장이버섯 균주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Polyporus parvovarius) NIBRFG000500557 균주(수탁번호 KACC 83044BP)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 NIBRFG000500557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액체 및 고체배양을 통해 증식 가능하며, 아스코브르 산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항산화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출원번호 10-2021-0070401 (2021-05-31)
등록번호 10-2364556 (2022-02-15)
출원인 국립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본 발명은 장미목의 여러해살이 풀인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추출물 유래 Thonningianin B를 이용한 항균제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10-2021-0186511 (2021-12-23)
등록번호 10-2406286-0000 (2022-06-02)
출원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슈도노카르디아 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방제용 살조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녹조가 발생한 낙동강에서 분리한 희귀 방선균 슈도노카르디아 속 (Pseudonocardia sp. SA08-17) [KCTC14320BP] 균주 및 배양액의 유해 조류 방제용 살조(Algicidal activity)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10-2020-0149970(2020-11-11)
등록번호 10-2399850-0000(2022-05-16)
출원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논문

국립생물자원관
논 경작활동이 국내 도요물떼새 서식지 이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연안에 위치한 논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흑꼬리도요(Limosa limosa), 청다리도요(Tringa nebularia), 알락도요(T. glareola)를 대상으로 경작 활동으로 형성된 서식지 타입과 조성 시기에 따라 도요물떼새류의 밀도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였다. 흑꼬리도요와 알락도요는 서식지 조성 시기, 경작활동 종류에 따라 형성된 바닥 유형, 수위에 영향을 받는 반면, 청다리도요는 바닥 유형에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청다리도요에게는 모든 요소가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도요물떼새류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는 (1) 범람 시간, (2) 얕은 수위, (3) 고른 바닥 유형, (4) 5-7일 간격의 연속적인 경작활동을 제안한다. 우리는 논 관리에서 파악된 환경 특성이 이동하는 도요물떼새류가 서식지로 이용하는 데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논을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는 장거리 이동하는 도요물떼새류에게 체계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Seung-Hye Choi, Green Choi, Hyung-Kyu Nam (2022). Impact of rice paddy agriculture on habitat usage of migratory shorebirds at the rice paddy scale in Korea. Scientific Reports 12, 5762. https://doi.org/10.1038/s41598-022-09708-6
국립생태원
침수저항종 결정 특성과 장기간의 추가 강수에 따른 침엽수 6종의 생장반응 평가 6종 침엽수의 묘목에서 추가 강수에 대한 저항성(REI)을 형태학적·생리학적·생화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정량화했다. 형태학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징들 파악을 위해 다른 강수 시스템인 자연 강수량, 스프링클러에 의한 추가 강수(자연 강수량보다 30.89 ± 2.80%)를 3년 연속으로 적용했다.
Narayan Bhusal, Arjun Adhikari, Minsu Lee, Areum Han, Ah Reum Han, Hyun Seok Kim (2022). Evaluation of growth responses of six gymnosperm species under long-term excessive irrigation and traits determining species resistance to waterlogging,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23. http://doi.org/10.1016/j.agrformet.2022.109071
남한 내 멸종위기종인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의 개체군 유전구조 및 보전관리 본 연구는 미트콘드리아 DNA(mtDNA)를 이용해 양비둘기의 보전 정책 방향과 재도입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고 집비둘기와의 잡종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양비둘기는 몽골과 러시아 개체군과 유전적 차이가 없었으며,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Jin-Yong Kim, Soo Hyung Eo, Seung-Gu Kang, Jung Eun Hwang, Yonggu Yeo, Jongmin Yoon (2002).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hill pigeons (Columba rupestris) recently endangered in South Korea. Genes Genomics. 2022 Jan 13. http://doi.org/10.1007/s13258-021-01212-x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한국 해역에서 보고된 바다거북 착생 따개비류 본 연구에서는 6년간(2015~2020년) 좌초된 바다거북이 55개체(붉은바다거북 32개체(58%), 푸른바다거북 18개체(33%), 장수거북 2개체, 올리브바다거북 2개체, 메부리바다거북 1개체)를 대상으로 바다거북따개비류의 다양성, 발견 빈도 및 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직 한 종의 바다거북따개비류 Chelonibia testudinaria (Linnaeus, 1758)가 붉은바다거북과 푸른바다거북에서 발견되었다.
Hyun Kyong Kim, Benny K. K. Chan, Changho Yi, Il-Hun Kim, Yu Na Choi (2022). Barnacle Epibiosis on Sea Turtles in Korea: A West Pacific Region With Low Occurrence and Intensity of Chelonibia testudinaria (Cirripedia: Chelonibiidae).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10. http://doi.org/10.3389/fevo.2022.785692
섬·연안 환경에서 분리한 미기록 원핵생물 30종 보고 전라남도 지역 섬·연안 환경에 서식하는 다양한 원핵생물을 분리해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4문 7강 13목 19과 22속에 속하는 30종의 원핵생물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밝혀졌고, 연구 결과에 세포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 정보를 함께 제공했다.
Seung Yeol Shin, Yochan Joung, Dukki Han, Ji Hye Jeong, Yi Hyun Jeon, Jaeho Song (2022). A report of 30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solated from marine ecosystems in 2021. Journal of Species Research 11(3): 143-154. http://doi.org/10.12651/JSR.2022.11.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