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 허

국립생물자원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 페니실리움 비세티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고, 페니실린산(Penicillic Acid)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리움 비세티(Penicillium bissettii)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페니실리움 비세티 균주(수탁번호: KACC 83024BP)는 우리나라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숲속이나 석회암 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고유식물 덕우기름나물(Peucedanum insolens)에서 분리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 이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유해 미생물에 대해 탁월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또는 사료 보존용 방부제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출원번호 10-2020-0131445 (2020-10-12)
공개번호 10-2461715 (2022-10-27)
출원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논문

국립생물자원관
한국 양서·파충류 핵심 분포지역을 위한 생태적 보전 수립 본 연구는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양서류와 파충류 종들의 분포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하는 서식 환경을 확인하고, 종 분포 모델을 구축하여 그들의 서식지 보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양서류 19종과 파충류 20종이 분포한 지역의 기후 변수들은 지리적 변수인 고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고도는 분포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환경 변수로 확인되었다. 양서류 10-12종과 파충류 13-16종의 서식 가능한 공간이 가장 많은 행정구역은 강원도로 예측되었고,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 밀집해 있었다. 이러한 핵심 분포 지역들은 국가에서 관리 중인 생태계 보전 지역인 비무장지대(DMZ)와 국립공원들에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이외의 핵심 분포 지역들은 보전지역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개발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위험에 처해 있다. 따라서 예측된 핵심 분포 지역에서 정밀 모니터링을 통해 종들의 실제 서식 여부를 확인한 후, 양서류와 파충류에 초점을 맞춘 보전 지역을 새롭게 설정하고, 우선적으로 보호구역으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양서·파충류의 보호 지역을 지정함에 있어 보호 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in Seock Do, Seok-Jun Son, Green Choi, Nakyung Yoo, Dae-in Kim, Kyo-Soung Koo, Hyung-Kyu Nam (2022).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conservation for herpetofauna species in hotspot areas of South Korea. Scientific Reports 12: 14839. https://doi.org/10.1038/s41598-022-19129-0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가 숙주 면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ASFV)가 효율적으로 증식하기 위해서 숙주의 면역체계를 회피하는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확인하였다. 숙주의 면역체계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터페론을 생산하여 주변 세포로의 감염을 차단하는데, ASFV의 특정유전자(EP364R, C129R)에 의해 생산되는 단백질이 인터페론의 생성을 억제하여 숙주의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ASFV 약독화 백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iranjan Dodantenna, Lakmal Ranathunga, W.A. Gayan Chathuranga, Asela Weerawardhana, Ji-Won Cha, Ashan Subasinghe, Nuwan Gamage, D. K. Haluwana, YongKwan Kim, WeonHwa Jheong, Haryoung Pool Joon-Soo Lee (2022). African Swine Fever Virus EP364R and C129R Target Cyclic GMP-AMP To Inhibit the cGAS-STING Signaling Pathway. J Virol. 96(15):e0102222. https://doi.org/10.1128/jvi.01022-22
국립생태원
우리나라 대표 외래어종 2종(큰입배스, 블루길)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예측 연구 우리나라 대표 수생태계 교란 외래생물인 큰입배스와 블루길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1세기 말까지의 확산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영향을 진단했다. 활용자료는 국립생태원의 외래생물연구팀에서 수집한 두 외래생물의 분포 조사 정보와 기상청에서 제공받은 전국 기후 특성 정보 및 21세기 말까지의 기후변화 예측정보다. 활용된 예측 모형은 정확도 제고 및 불확실성 최소화를 위해, 10개의 종분포모형 예측 결과를 융합한 다중 앙상블 종 분포 예측 시스템이며, 전국의 수계 분포 현황 공간 정보를 자체 생산하여 적용했다. 외래생물 예측 결과에 의하면 두 생물종 모두 온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분포 확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세기 말 기준으로 큰입배스는 현재 분포대비 약1.3배, 블루길은 약1.7배의 분포면적 확대가 예측되는 등, 큰입배스보다 블루길 확산에 대한 생태계 교란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분포 영역의 확대가 21세기 말에 가까워질수록 하천 상류 쪽로의 확산이 뚜렷해 상류에 주로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희귀 어종들에 대한 기후변화 위협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Seungbum Hong, Inyoung Jang, Daegeun Kim, Suhwan Kim, Hyun Su Park, Kyungeun Lee (2022).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Changes of Two Invasive Alien Fish Species with Climate Change at a Regional Scale. Sustainability 14(1): 6093. https://doi.org/10.3390/su14106093
전국 야생 벌목 분포에 대한 기후요인 영향 연구 한반도(남한)에서 출현하는 야생벌(꿀벌상과, 말벌상과, 청벌상과)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7년(37 조사지점)에서 2018년 (14 조사지점)까지 총 51개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하여 야생벌류의 출현 현황을 파악하였다. 야생벌류의 산림기후대에 따른 분포는 평균기온, 적산온도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사회 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시나리오의 2-4.5와 5-8.5버전으로 BIOMOD 종분포 모형에 따라 남한 전역에서 출현한 야생벌과 기후대별로 특이적으로 출현한 종의 서식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여 현재의 종 서식지 분포에서, 2050년과 2100년에 북쪽으로 서식지가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Dong Su Yu, Oh-Chang Kwon, Manseok Shin, Jeong Kyu Kim, Sang-Hun Lee (2022).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Wild Aculeata (Insecta: Hymenoptera). Korean J. Environ. Ecol. 36(3): 303-317. https://doi.org/10.13047/KJEE.2022.36.3.30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치주염 원인균 LPS-PG로 유도된 인체 치은섬유아세포에서 연뿌리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연뿌리 추출물이 치주 질환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치주 질환을 일으키는 인체 치주염 유발세균의 지질다당체(LPS-PG)를 이용하여 치은섬유아세포(HGF-1)에 염증을 유발한 뒤, 염증 유발 물질들의 조절능력과 그에 따른 작용 기전을 연구했다. 연뿌리 추출물은 염증이 유발된 치은섬유아세포(HGF-1)에서 염증유발물질인 산화질소(NO), 프로스타글란딘(PGE2),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NF-α),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1β(IL-1β)의 발현을 최대 60%까지 억제한다. 또한, 연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세포 내 염증유발 전사인자(NF-κB) 활성을 억제하여 치주염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Lee, Young-Kyung, Chul Hwan Kim, Dae Won Jeong, Ki Won Lee, Young Taek Oh, Jeong Il Kim, Jin-Woo Jeong (2022).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Lotus Root Extract in LPS-PG-Stimul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1 Cell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35(5): 565-573. https://doi.org/10.7732/kjpr.2022.35.5.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