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질병대응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용우 연구사입니다. 질병대응팀의 주요 업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과 같은 야생동물 주요 질병의 대응, 예찰 및 질병진단, 정보분석, 환경조사, 질병진단법 개발 등입니다. 저는 그중에서도 ASF 백신 개발 업무와 야생동물 질병발생 현장대응을 위한 신속 진단 기술개발, 야생동물 신종감염병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질병이 인류나 생태계에 위협적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어느 정도로 위험한지 인식은 부족한 듯합니다. 야생동물의 질병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신종 감염병의 75% 이상이 동물에서 유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체 감염병의 60% 이상인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동물’ 종간전파(Spillover)가 가능한 감염병인데요. 코로나19와 같은 대유행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광견병은 모든 포유류에 감염되는 질병으로 야생동물과의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습니다. 구조가 필요한 야생동물을 발견했을 시,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신고하고 위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그대로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야생동물의 질병진단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ASF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망한 야생 멧돼지가 발견된 장소에서 혈액 혹은 털 등의 검체를 채취해 본 원으로 가지고 옵니다. 이후 실험실에서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해당 검체의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ASFV, African Swine Fever Virus) 감염 여부를 확인해 ASF 확진 판정을 내립니다. 이렇게 실험실에서 진단하는 방법 외에 간이 코로나 키트와 같은 방법으로 현장에서도 진단하고있지만, 좀 더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관련 장비를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한 신속 유전자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데 착수했습니다. 올해 안에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SF 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어디까지 진행되었을까요?

ASF는 아프리카의 돼지에서 발병하는 질병으로 치사율이 무려 90%에 달합니다. 국내에서는 유럽, 중국을 거쳐 2019년에 처음 발견됐는데요. 현재는 경북 및 부산 지역까지 퍼진 상황입니다.
ASF가 야생 멧돼지를 넘어 사육 돼지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 이는 먹거리 문제가 됩니다. 백신 개발이 가능한 특수 실험실에서 여러 가지 트랙으로 백신 개발을 진행 중인데요. 3년 정도 ASF 백신 개발에 매진한 것 같네요. 또한, ASF는 치료제가 없습니다. 사실상 수많은 야생 멧돼지를 한 마리 한 마리 검사하며 치료해야 하는 과정이 번거롭기에 치료가 큰 의미가 없어요. 그렇다 보니 백신이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계획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ASF 현장 신속 유전자 진단 기술개발과 백신 개발을 무사히 완료하는 게 목표입니다. ASF 미끼 형태의 백신도 구상하고 있는데요. 광견병은 동물들에게 먹이 형태로 백신을 삽입하는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 멧돼지도 이런 방식으로 ASF를 예방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ASF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