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 허

국립생물자원관
멜리엔타 수아비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생물자원 국제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베트남에서 확보한 소재인 멜리엔타 수아비스(Melientha suavis)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Acinetobacter baumannii), 아시넥토박터 바이리이균(Acinetobacter baylyi), 보르데텔라 퍼투시스균(Bordetella pertussis), 클렙시엘라 뉴모니아균(Klebsiella pneumoniae), 모락셀라 카타랄리스균(Moraxella catarrgalis),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균(Pseudomonas aeruginosa),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균(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균(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균(Streptococcus pyogenes) 등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멜리엔타 수아비스 추출물은 상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병원성 세균의 감염증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출원번호 10-2021-0169512
출원인 국립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뚜껑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생물막 조성물 본 발명은 뚜껑덩굴(Actinostemma lobatum)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생물막(biofilm) 형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뚜껑덩굴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약제 내성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막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에 따라 상기 뚜껑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병원성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생물막 형성 억제용 조성물로 제공된다.
출원번호 10-2024-0096051
출원인 황병수, 정용태, 오영택, 김민진, 최지수, 정대원

연구논문

국립생태원
콘크리트 수로 탈출로 경사각에 따른 한국산개구리 행동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U형 벤치 플륨관 수로에 설치되는 수로 탈출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개구리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탈출 경사로 기준 각도를 제언하는 것이다. 실험 장치는 현장에서 적용되는 콘크리트 수로 탈출장치와 형태 및 재질을 유사하게 제작하였다. 경사로 실험을 위해 논 습지에 서식하는 한국산개구리를 선정하였다. 경사로에서 보여지는 개구리의 주요 행동은 ‘뛰기’, ‘걷기’, ‘미끄러짐’이었으며, 경사각에 따른 행동 결과를 기록한 후 통계 분석하였다. 경사각은 20°~6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5개의 경사각을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관성 검증은 카이제곱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30°와 4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의 30° 이하의 설치 기준에 있어, 현장에서 이를 40°까지 일부 허용해 줄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결과이다. 하지만 수로 탈출 경사로가 한국산개구리뿐 아니라 다양한 소형 야생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aeho Lee, Jungkwon Kim, Jihye Seo, Moonjeong Jang, Taeyoung Choi, Minho Chang,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J. Environ. Impact Assess.), Vol. 31, No. 1(2022), pp.75~81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한국의 6개 도서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병풀(Centella asiatica)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 보전와 활용에 대한 시사점 국내에서는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며, 유전적 다양성보다는 대부분 기능적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전형 분석(genotyping by sequencing analysis)을 수행하여 우리나라 6개 도서 지역에서 채집한 유용한 약용식물인 병풀의 유전적 다양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진은 식물의 유전적 변이, 집단구조, 보존 및 유전적 개선 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도서 지역에서 수집된 병풀 개체 간 유전적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지역 개체군 간 유전적 차이는 0.5%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또한 서로 다른 두 개의 유전적 클러스터를 확인하였으나 유전적 차이는 작았다. 유의미한 거리-격리 패턴 없는 잠재적인 클론 확산은 한국의 추운 환경에 적응한 일부 개체들이 우점한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자생하는 병풀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의 중요성과 개체 간의 식물화학적 함량과 생체 활성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이번 실험 결과들은 우수한 자원 선별, 품종 개발 등 식물 유전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Lee S.A., Seo H., Han S., Jun J.S., Jung T.W. and Lee K.J.. 2024. Exploring genetic diversity of Centella asiatica (L.) Urb. across six Korean island region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t Genetic Resources. 22(1):5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