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 허

국립생물자원관
비둘기 종 판별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잡종 판별 방법 본 발명은 비둘기 종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잡종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별용 조성물은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InDel)을 이용하여 선별된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국내의 경우 집비둘기의 유입으로 인해 멸종위기종인 양비둘기가 경쟁에서 밀리고, 양비둘기와 집비둘기 간의 잡종 발생으로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여, 매우 적은 수의 양비둘기 만이 국내에 분포하고 있다. 양비둘기의 개체수 감소에 따른 멸종 가속화를 막기 위해, 양비둘기와 집비둘기 두 종간 잡종을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바, InDel 원리를 이용하여 비둘기 종의 구분과 잡종 판별이 가능한 마커 개발을 통해 종보전 및 복원 정책에 이용이 가능하다.
출원번호 10-2022-0092781
등록번호 10-2511997
출원인 국립생물자원관(50%), 국립생태원(50%)
국립생태원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본 발명은 목재의 자연증발 원리를 이용하여 주변으로 습기를 공급하고, 목재의 흡습 팽창과 수축에 따른 물 투입부의 높이가 변하여 표시부재의 노출 상태를 통해 사용자가 실내의 건조 여부를 알 수 있는 목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이며,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목재와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가습부재인 목재 복합소재는 천연 가습기의 가습부재 외에 건축자재, 화재경보기, 그늘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출원번호 10-2020-0182976(2020.12.24.)
등록번호 10-2257989(2021.05.24)
출원인 국립생태원, 박귀종

연구논문

국립생물자원관
‘한국 자생생물 발굴’ 사업을 통해 발견된 국내 미기록종 리스트 II - 원생 제외 무척추동물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주관하는 ‘한국 자생생물 발굴’ 사업을 통해 발견된 국내 미기록 무척추동물의 두 번째 리스트 형식 논문이다. 목록을 편찬하기 위한 데이터는 주로 2013–2021년에 제출된 ‘한국 자생생물 발굴’ 사업의 최종 보고서에서 수집했으며, 각 분류군 전문가에 의해 검토 및 업데이트됐다. 수록된 종들은 주로 국내 해양 조간대, 토양, 담수 연못, 저수지 및 숙주(host)에서 채집됐다. 이 연구에서는 4개 문(Platyhelminthes, Annelida, Rotifera and Arthropoda)에 속하는 38종의 미기록종을 리스트 형식으로 제시하며, 각 종마다 채집 장소(GPS), 진단(diagnosis), 표본 바우처 번호, 사진 및 국명(신칭)을 포함한 간략한 분류학적 정보를 제공한다. 제시된 원생동물 제외 무척추동물 38종은 출판 후 국립생물자원관이 관리하는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된다.
Su-Jung Ji, Chuleui Jung, Hyun Woo Bang, Min Ok Song, Jongwoo Jung, Seong Myeong Yoon, Seunghwan Lee, Seoyoung Keum, Hee-Min Yang, Dongmin Lee, Geon Hyeok Lee, Jaeseok Oh, Kichoon Kim, Hansol Park, Heejin Moon, Omid Joharchi, Yeseul Kang, Keeseon S. Eom, Kyung Jin Lee, Ye Eun, Taeho Kim, Ivana Karanovic, Jeounghee Lee, Seongjun Choe and Gi-Sik Min (2023).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invertebrate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II. Journal of Species Research 12, 68-89. DOI:10.12651/JSR.2023.12.1.068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공검지(국내 습지) 퇴적토에서의 홀로세 시기 미기록종 돌말류 보고 공검지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삼한시대에 농경을 위해 축조되었다고 알려진 역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저수지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되어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6년부터 우리나라의 주요 습지를 대상으로 고생물의 다양성 및 고환경 변화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공검지의 퇴적토를 9 m 깊이에서 채취하여, 홀로세 시기부터 살아온 돌말류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6종의 미 기록종(Gomphonema lacusrankala, Pinnularia diandae, P. gibba var. hyaline, P. lacunarum, Sellaphora labda var. nipponica, Stauroneis angustilancea)을 발굴하였다. 추가로 이 종들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를 분석하여 세포의 크기, 서식 환경 및 종의 형태적 특징 정보를 제공하였다.
Daeryul Kwon, Mirye Park, Hoil Lee, Jin-Young Lee, Sang Deuk Lee (2023) New recorded diatoms in Holocene sediment cores from the Gonggeom-ji Wetland in Korea. Applied Microscopy, 53:3. https://doi.org/10.1186/s42649-023-00086-5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칡 유래 성분의 모노아민 산화효소 및 아밀로이드베타 자가응집 억제 효능 모노아민 산화효소(MAO)는 중추신경계의 모노아민을 조절함으로써 우울증 및 파킨슨 질환의 발병과 깊게 관련이 있으며,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은 뇌 속에서 자가응집을 통해 알츠하이머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MAO 활성 및 Aβ 자가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물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왕성한 생명력으로 인해 산림생태계에 위해를 가한다고 알려진 칡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뇌 질환 개선 관련 다양한 바이오마커들을 활용하여 이들의 효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칡 속의 다양한 성분 중 쿠메스트롤(coumestrol)이 우울증 및 긴장 완화와 관련 있다고 알려진 MAO-A를 선택적이고 경쟁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쿠메스트롤이 Aβ의 자가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뇌 질환 개선 소재 개발을 위해 본 연구 결과의 활용이 유의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Su Hui Seong, Bo-Ram Kim, Myoung Lae Cho, Tae-Su Kim 1,Sua Im, Seahee Han, Jin-Woo Jeong, Hyun Ah Jung, and Jae Sue Choi (2022). Phytoestrogen Coumestrol Selectively Inhibits Monoamine Oxidase-A and Amyloid β Self-Aggregation. Nutrients 14(18): 3822. https://doi.org/10.3390/nu14183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