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 허

국립생물자원관
자색 당근 추출물의 생물전환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자색 당근은 유라시아 전역에 자생하는 미나리과의 근채류다. 천연색소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다량 함유하여 짙은 자주색을 띈다. 또한, 예로부터 혈액순환을 돕고 천식을 가라앉히며 안과질환 예방 및 폐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어 식품 재료로 사용됐으며, 베타-카로텐(β-carotene), 루테인(lutein), 리코펜(lycopene), 비타민 C 및 안토시아닌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여 풍부하여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항알러지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자색 당근 추출물을 제주도 전통간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IAMENSIS JD-3로 생물 전환하여, 생물 전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산물을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자색 당근 추출물의 생물전환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생물전환하지 않은 자색 당근 추출물에 비해 개선된 안전성을 나타내면서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 TRP-1, TRP-2, 티로시나제 및 MITF와 같은 멜라닌 생성 관여 인자들의 발현 억제 효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전환방법에 따르면 자색 당근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개선된 안전성 및 우수한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생물전환할 수 있다.
출원번호 10-2022-0049697
등록번호 10-2699412
출원인 국립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노랑꽃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개선용 조성물 이번 발명은 노랑꽃창포(Iris pseudacorus)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번 발명에 따르면 노랑꽃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등의 기능성 식품이나 천연물 의약품 등의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L6 근육세포(L6 myotube cell)에서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키고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화(인산화)와 Acetyl-CoA carboxylase (ACC)의 불활성화(인산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을 가진 노랑꽃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개선용 조성물이다.
출원번호/
등록번호
10-2024-0000000
출원인 정용태, 황병수, 김민진, 최지수, 정대원, 황용, 최경수

연구논문

국립생태원
공간자료를 활용한 멸종위기종 저어새(Platalea minor)의 적합 번식지 분석 연구 본 연구는 최근 번식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의 잠재 번식지를 제시하기 위해 인천 지역 비번식 무인도 70개 섬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문헌 검색을 통해 파악된 번식지와 비번식지의 환경적 특성을 비교하여 저어새의 잠재 번식지를 파악하기 위한 판별식을 개발하였다. 총 8개의 환경 변수(섬 면적, 육지와의 거리, 갯벌까지의 거리, 논까지의 거리, 항로까지의 거리, 수심, 갯벌 면적, 논 면적) 중 저어새의 번식지 선정에 영향을 준 변수는 평균 수심, 갯벌 면적, 논 면적이었다.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번식지를 판별 분석한 결과, 정확도가 80%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판별식을 인천 지역에 위치한 비번식 지역에 적용한 결과, 총 9개의 섬(용란도, 고석도, 벌염, 조름섬, 괴리섬, 함박도, 모이도, 비가지도, 아염)이 저어새의 잠재적 번식지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는 향후 저어새 번식지 관리 및 대체 서식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Jung J.W, Kim S.R, Yoon Y.J, Tho J.H, Han Y.D, Jang R.H., J. Korean Env. Res. Tech. 26(6) : 189~203(2023)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기후변화에 따른 산개구리류(Rana uenoi, R. huanrenensis and R. coreana)의 공간 분포 예측 기후변화는 생물의 서식지와 개체군을 감소시키고 생물다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양서류와 같은 변온동물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 환경 요인의 변화에 더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 서식 지점들 정보, 종분포모델링 기법, 기후변화모델에 따른 분포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개구리류 3종의 주요 분포지역들과 서식지 특성을 확인했다. 고도, 기온, 일교차와 강수량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들로 확인되었으며, 태백산맥 주변 환경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분포모델을 통해 예측된 공간적 분포 범위와 서식지 특성들은 기존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예측된 미래 기후변화를 토대로 분포지를 분석한 결과, 큰산개구리(Rana uenoi)의 경우 적합한 분포 지역이 현재 분포 범위에 비해 RCP(Representative Condcentration Pathways, 기후변화 연구에 사용되는 시나리오)4.5에서 6% 증가하지만 RCP8.5에서는 6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찬가지로, 계곡산개구리(R. huanrenensis)에 적합한 지역은 RCP4.5에서 86%, RCP8.5에서 99% 감소했고, 한국산개구리(R. coreana)의 적합한 지역은 RCP4.5에서 95%, RCP8.5에서 99% 감소했다. 종합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적합한 서식지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후변화가 양서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종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미세환경 요인들에 대한 추가연구는 취약종에 대한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Jung, J. H., Choi, S., Suh, J. H. and Do, M. S.. 2024. Spatial Distributional Prediction of Korean Brown Frogs (Rana uenoi, R. huanrenensis and R. coreana) according to Climate Change. Current Herpetology. 43(1): 135-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