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외래생물과 생태계교란 생물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환경부가 관리하는 외래생물은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유입주의 생물로 나뉩니다. 이 생물들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약칭: 생물다양성법)」에 따라 관리하는데요. 생태계교란 생물은 토착생물 개체군의 감소, 먹이사슬 교란 등 생태적 피해를 비롯한 농림·수산업 등 경제적·인체 건강·사회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Q. 국립생태원은 그런 생물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국립생태원은 「생물다양성법 시행령」 제16조의2(업무의 위탁)에 따라 유입주의 생물 또는 외래생물 등의 위해성 평가와 생태계교란 생물이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외래생물의 침입 단계를 운송, 도입·유입, 정착, 확산으로 구분해 관리합니다.
Q. 국립생태원이 운영 중인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긴급대응이 필요한 법정관리 외래생물과 그밖에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외래생물의 빠른 발견과 조속한 대응을 통해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2018년 하반기부터 운영 중입니다. 누리집(kias.nie.re.kr) 내 ‘외래생물 신고센터’에서는 생태계교란 생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유입주의 생물 등 법정관리 외래생물로 의심되는 종 또는 기타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외래생물 중, 긴급대응이 필요한 생물에 대한 신고를 받습니다. 현재 누리집을 비롯해 전화(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041-950-5407)와 이메일(kias@nie.re.kr)을 통해서도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Q. 일반인이 외래생물을 발견했을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 하나요?
법정관리 외래생물을 발견하면 포획·운반·방출 등을 삼가고, 해당 위치를 관할 환경청 및 지자체에 알려주세요. 또한 앞서 말씀드린 외래생물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하셔도 됩니다. 「생물다양성법」에 따라 국립생태원이 법정관리 외래생물의 조사 및 평가를 진행하는데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큰 외래생물에 대해서는 긴급대응을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그 외에도 접수 내용을 검토해 신고자분께 안내해 드립니다.
Q. 가장 많이 신고되는 생물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주로 각 생물의 활동 시기와 맞물려, 계절에 따라 다른 편이에요. 봄철에는 목재 구조물에서 외래흰개미로 의심되는 생물을 발견했다는 신고가 많습니다. 여름철에는 붉은귀거북 같은 외래 거북류에 대한 신고가 증가하는데, 번식기와 야외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라는 관련이 있습니다.
Q. 최근 주의 깊게 관심을 두고 계신 생물이 있나요?
국립생태원은 법정관리 외래생물을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특히 국지적으로만 분포하던 종에 대해 초기 단계에 확산을 방지하고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데요. 올해에는 전남 진도에서만 분포가 확인되고 있는 생태계교란 식물 ‘갯줄풀’의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중입니다.
Q. 외래종, 생태계교란 생물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어떤 기술을 활용하나요?
대상 종에 따라 조사 기술이 달라집니다. 기본적으로 현장에서 정성 조사와 정량 조사를 병행하며, 동물의 경우 목견 및 흔적 조사를 통한 정성 조사와 트랩, 투망, 족대, 자망 등을 이용한 포획 조사를 실시합니다. 식물은 현존식생도 작성, 방형구법1을 통한 식생 조사 및 식물상 조사를 통해 개체군 변동과 동반 출현종을 파악합니다. 최근에는 eDNA 분석, 드론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조사 기법을 활발히 활용하며,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포유류 개체수 추정, 탐지견을 활용한 외래개미류 탐지, 기계학습을 통한 생태계교란 식물 자동 분류 기술 등 첨단기술도 도입했습니다.
1 일정 면적의 구획을 정하여 그 안의 생물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는 방법

Q.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이 외래생물에 대해 오해하는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외래생물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하지만, 사실 농작물, 목화, 원예식물, 동물원·식물원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에게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다만 자연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래생물은 ‘침입외래생물’로 정의하며, 국제적으로도 이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국립생태원은 바로 이러한 ‘침입외래생물’을 관리하고 있어요. 모든 외래생물이 나쁘다는 인식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외래생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래생물도 있다는 점을 함께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방생 등으로 인한 인위적 요인 때문에 긍정적 역할을 하던 외래생물이 자연생태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사례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래생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책임 있는 관리 태도를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