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구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에서 월동하는 물새류의 장기 개체군 변동 특성 물새류 개체수 변화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겨울 철새를 포함한 많은 물새 종이 개체수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물새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개체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국에서 수행된 연구들 중 물새의 장기 개체군 추세를 파악한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특정 종이나 일부 물새 분류군에만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25년간 겨울철 한국에 도래하는 물새의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새 분류군과 종에 대한 개체수 추세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기러기류, 고니류, 두루미류 등은 증가하는 반면에, 수면성오리류, 잠수성오리류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종 수준에서는 증감의 변화가 종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났다. 재두루미, 황새와 같은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들의 경우 인간에 의한 직접적인 보전 조치의 효과로 인해 25년간 개체수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고니나 흰죽지와 같은 일부 종은 서식지 손실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체수 변동 특성을 분석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물새류의 개체수 변화 경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했으며, 그에 따른 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Nam H. K., Hur W. H., Kim H. J., Kim D. W., Hwang J. W., Park J. Y., Kil H. J. and Choi Y. S. 2025. Long-term changes in the population trends of wintering waterbirds in the Republic of Korea. Bird Conservation International.
국립생태원
구상나무의 환경변화 적응을 위한 식물호르몬 활용 방안 분석 구상나무(Abies koreana)는 한반도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 수종으로, 기후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을 위한 구상나무의 분자적 기작은 아직까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앱시스산(Abscisic acid, ABA)’을 구상나무 잎에 처리함으로써 구상나무 유전자에서의 ABA의 영향을 확인했다. 다양한 농도(0.2, 0.4, 0.8 mM)의 ABA를 잎(바늘잎)에 처리하고, 처리 방식(압력 분사 vs 침지) 및 시간에 따른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했다. ABA를 농도별 처리 방식을 달리하여 확인한 결과, 0.2 mM 농도의 ABA를 침지 방식으로 처리했을 때 유전자 발현 유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이전 연구에서(Hwang et al., 2018) 고온 스트레스에서 구상나무의 발현 유전자(8종)에서 전사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구상나무의 환경 저항성 유전자 8종 중 AkNAC19, AkERF4, AkNAC2, AkbHLH, AkEFP, AkHSP17.6, AkMYB123 유전자가 ABA에 양성적 반응이 나타났으며, 반응 최적 시간은 유전자별로 상이했다. 반면, AkMPK6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구상나무가 ABA를 매개로 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할 수 있음을 제시했으며, 향후 구상나무의 기후변화 대응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Lee D. Y., Kim D. W., Park D. Y., Park J. W. and Park H. C. 2023.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exogenous abscisic acid (ABA) application on the expression of ABA-responsive genes in Abies koreana. Plant Biotechnology Reports, 17(5):777-785

특 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신규로 분리한 카테노불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강릉시 경포호에서 신규로 분리한 카테노불룸 속(Catenovulum sp.) 균주 6LW5-1 및 그 활용에 관한 것이다. 이 균주는 기존 균주에 비해 뛰어난 아가레이스(agarase, 한천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효소 생산과 배양 조건 최적화가 가능해 산업적 활용에 유리하다. 이를 통해 한천을 분해함으로써 장 건강 개선, 항염, 항산화, 면역 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한천 올리고당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기존에는 화학적 방법이나 효소 활성이 낮은 미생물에 의존해 왔으나, 본 발명의 균주는 고효율의 한천 분해와 고품질 올리고당 생산이 가능하여 상업적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균주는 식품, 화장품, 사료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양 유래 미생물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출원번호 10-2025-0083695
출원인 김향미, 김현주, 고재덕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키토산, 게니핀 및 알라메티신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섬·연안 지역의 토양에서 확보한 곰팡이(Trichoderma viride) 유래 항균 펩타이드인 알라메티신(alamethicin), 천연 고분자인 키토산(chitosan), 그리고 천연 가교제인 게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 viride는 식물병 원인균 억제 및 식물 생장 촉진에 효과적인 곰팡이로 알려져 있으며, 이 곰팡이로부터 추출된 알라메티신은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활용 가능한 천연 항균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하이드로겔은 세포 친화성 및 생물막 억제 효과를 바탕으로 감염성 상처 부위의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고, 조직 재생과 상처 회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생체 내·외 실험에서 높은 생체 적합성과 안전성이 입증됐다. 이 조성물은 스캐폴드, 하이드로겔 팩, 패치 등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감염성 상처 치료, 피부 재생, 항균 제품 등 다양한 의약·바이오 응용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등록번호 10-2817302
출원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